고달사지 터에서 세 유적을 살펴보고서 나는 국보 4호 고달사지부도를 보러 산으로 향했다. 앞으로 보게될 세 유적은 평야에 위치 한것이 아니라 산속으로 들어가야 볼 수 있는 유물이다. 올라선 언덕에서 약 50m 정도를 올라가면 고달사지부도를 볼 수 있다. 지정번호 국보 제4호 지 정 일 1962.12.20 시 대 고려시대 소 재 지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411-1 이 곳에서 좀 더 올라가면 석실묘를 볼 수 있다. 지정번호 기념물 제 198호 지 정 일 2004. 1. 30 시 대 고려시대 소 재 지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 산 46-1 이걸 다 보고 내려와서 이정표를 따라서 좀 더 내려가면 원종대사 혜진탑을 볼 수 있다. 지정번호 보물 제7호 지 정 일 1963. 1.21 시 대 고려시대 소 재 ..
우리 나라 보물에 대한 글을 보다가 고달사라는 곳을 알게 되었다. 사실 고달사는 현재 보존 되지 않은 곳이고, 고달사 터가 맞는 얘기 일것이다. 이 고달사 터에는 우리나라의 보물 4호인 가 있다. 내 눈에 고달사지부도는 그닥 관심을 가질 만한 유적은 아니였다. 다만 삼국시대의 유물이라는 점에서 특이하긴 하겠지만, 특이할만한 외형이 엿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고달사 터에 있던 다른 여러 유물 중에 특이 할만한 유적이 있었으니 원종대사 혜진탑 귀부및 이수였다. 그래서 나는 이 여행을 감수하게 되었다. 이 여행을 시작하면서 누군가에게 너무 미안한 마음 을 갖는다. 누군지 본인은 알 것이다. 서울 외곽 순환도로를 진입하여 고달사지 터까지 1시간 40분 정도걸린다. 약 80km의 길이지만 직선 코스가 아니기에 시간..
- Total
- Today
- Yesterday
- 이벤트 상속
- width
- 스크립트
- height
- 아이프레임
- 제약조건
- 팝업
- 프로시져
- NSIS
- scrollHeight
- 윈도우 인증
- 정규식
- 오라클
- MSSQL
- onblur
- 에누리
- 크롬
- Setup
- 이벤트
- ajax
- 배열 변환
- 리사이즈
- 연차
- 문자열
- DB링크
- unique
- 셋업
- 디비링크
- SQL
- 프로시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